2기 동안 세 명의 위원장이 있었으나 조사대상자의 보호에만 신경쓸 뿐 이 장벽을 뛰어넘을 생각을 하지 않았다.
3기에서는진실화해위의 기풍이나 제도 차원에서 이를 넘어서야 조사관이 더 책무감을 갖고 뛸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다.
또 직권조사를 늘리고 진실.
작성할 종합보고서가 그의 편향적 시각으로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국가폭력 피해자들은 박 위원장이 없는 ‘3기진실화해위’가 빠르게 출범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1일 전남 강진군 강진읍 강진오감통시장을 찾아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제3기진실화해위(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를 신속하게 출범한다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약이 나왔다.
한편 조사 중지된 사건 조사와 권고사항 이행 방안과 관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대 대선에서 '3기진실화해위조속한 출범'을 공약한 상태다.
이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제21대 대선 후보자 10대 공약' 중 두 번째 항목인.
수 있도록 새 정부의 출범에 맞춰 스스로 물러나라"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선거 공약으로 '3기진실화해위의 조속한 출범'을 공약했다.
2기진실화해위는 6개월 이내 종합보고서를 작성한 뒤 오는 11월 26일 모든 활동을 종료한다.
추모의집에는 약 90여 평(30 평 *3실) 공간에 4235구의 유해가 임시안치돼 있다.
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제3기진실화해위의 조속한 출범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현재 2기 진화위는 올해 11월 활동을 종료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이 후보는 '제.
권한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과거사 진상규명을 이뤄내지 못했다"면서 "중단 없는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해 국회는 신속하게3기진실화해위출범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원장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권 도입, 피해자 의견수렴절차 마련 등 위원회의.
줄어들어 찾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진실화해위측은 과거사법 개정으로 조사 기간을 연장하거나3기진실화해위의 조속한 구성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회에는 조사 기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과거사법 개정안 9.
국가폭력피해범국민연대 제공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
피해자·유족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 일부 위원 및 간부의 각종 지시도 조사를 지연하는 원인이었다.
진실화해위지부는 “향후3기진실화해위가 재출범하게 된다면 이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소위원회 안건 상정과 심의에 관한 명확한 기준과 절차를.